도시기반형 신재생에너지 활용 사업모델

 연료전지와 하수처리장 연계

연료전지를 하수처리장에 설치할 때에는 엔지니어링 측면인 설치 및 경제성이 좋은 것을 우선 검토해야 한다. 서울시의 도시기반형 하수처리장 연료전지 실증모델이 중요한 실증사례가 될 수 있는데 2035년까지 4개 물재생센터(중랑·서남·난지·탄천)에 바이오가스 수소연료전지를 설치해 세계 최초로 대기오염 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이 없애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구축하는 내용이다. 시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와 수소기술을 융합하여 발전하는 에너지 선순환식 구축을 목표로 올해 중랑물재생센터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도시기반 하수처리장에 설치하는 연료전지에는 사업부지 내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개질로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는 하수처리장 바이오가스를 정제하여 도시가스사에 제공하고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연료전지는 향후 도시기반과 건축물에 일부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훌륭한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자립에너지도시 달성 특화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가상모델도시에 연료전지를 설치하고자 연료전지 부지, 사업자선정 방향, 주민수용 해결책 등 연료전지 발전사업 주민참여 성공사례를 벤치마킹을 통해 적극 도입을 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부지를 선정할 때에는 사업자 측면, 활용성 측면, 수용성 측면 등 다방면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반부지(분양형)와 임대부지를 활용할 경우 초기부지 매입비용, 운영 편리성, 매탄가스 활용 등 친환경적 요소가 있고 단독운영과 환경시설물과 공동으로 운영할지 등도 검토해야 한다. 사업자 선정시 또한 수소의무할당제(HPS) 및 주민참여 모델을 통해 민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여 연료전지 발전사업자의 참여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사업자의 최소한의 수익보장과 함께 지역사회에 이익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구지정 및 개발시 연료전지를 지자체에서 함께 공모하도록 하여 연료전지 발전사업자 단독공모 일때의 문제점 등을 보완할 수 있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주민참여를 위해 ‘민관 안전 환경위원회’ 등을 구성하여 주민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여 지역발전기금 등을 통해 지역 상생방안 모색하고 발전소로 연결하여 운영까지 되도록 해야한다. 법적으로는 주민의견수렴 언론 공고후 발전사업허가 및 개발행위허가 완료되면 발전소 건설이 가능하나, 최근 연료전지가 증가하면서 양산, 함양, 강릉, 완주 등에서와 같이 주민과의 갈등으로 좌초된 사례가 많고 허가 완료 후에도 주민 반대로 지연 또는 철회 등이 많으므로 이를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

다음 이전